반응형
빈 스코프란?
- 지금까지 우리는 스프링 빈이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함께 생성되어서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된다고 학습했다.
- 이것은 스프링 빈이 기본적으로 싱글톤 스코프로 생성되기 때문이다.
- 스코프는 번역 그대로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뜻한다.
스프링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스코프를 지원한다.
- 싱글톤: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 프로토타입: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웹 관련 스코프
- request: 웹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이다.
- session: 웹 세션이 생성되고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이다.
- application: 웹의 서블릿 컨텍스트와 같은 범위로 유지되는 스코프이다.
빈 스코프는 다음과 같이 지정할 수 있다.
컴포넌트 스캔 자동 등록
@Scope("prototype")
@Component
public class HelloBean {}
수동 등록
@Scope("prototype")
@Bean
PrototypeBean HelloBean() {
return new HelloBean();
}
지금까지 싱글톤 스코프를 계속 사용해보았으니, 프로토타입 스코프부터 확인해보자
반응형
'Spring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53. 프로토타입 스코프 - 싱글톤 빈과 함께 사용시 문제점 (0) | 2023.08.05 |
---|---|
52. 프로토타입 스코프 (0) | 2023.05.07 |
52. 애노테이션 @PostConstruct, @PreDestroy (이 방법을 쓰면 된다) (0) | 2023.05.07 |
51. 빈 등록 초기화, 소멸 메서드 지정 (0) | 2023.05.07 |
50. 인터페이스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0) | 2023.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