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B/PostgreSQL 25

5. 문자열 병합/연결 함수 ||, CONCAT

|| 'HOME' || ' '||'STUDY' -> HOME STUDY 'VALUE :' || 56 -> VALUE : 56 'ABC' || Null || 43 -> 빈값(Null) 함수형식 : 인자1 || 인자2 || - 인자1, 인자2 등의 입력 인자들은 문자열이나 비문자열 모두 가능 반환값 데이터 형식 : text 힘수설명 : 문자열을 병함 또는 연결하며, 입력 인자 중 하나라도 빈값이 있으면 결과는 빈값이 된다 CONCAT CONCAT('HOME',' ','STUDY') -> HOME STUDY CONCAT ('Value :',56) -> Value : 56 CONCAT ('ABC',Null,34) -> ABC34 함수형식 : CONCAT(인자1, 인자2..) - 인자1, 인자2 등의 입력 인자들..

DB/PostgreSQL 2022.10.26

4. FETCH FIRST 절을 사용하여 TOP-N 쿼리를 처리할 수 있다.

-- FETCH FIRST 절을 사용하는 문장의 예시 SELECT ... FROM 테이블 [WHERE ...] [ORDER BY ...] [OFFSET 건너뛸행수 {ROW | ROWS}] [FETCH {FIRST | NEXY} [출력할행수] {ROW | ROWS} ONLY]; 대괄호 [] 는 생략 가능함을 중괄호 {} 는 내부의 수직바 | 표시로 구분한 것들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함을 나타낸다. 건너뛸행수는 0이상의 양수여야한다. 기본적으로 0이나 NULL은 OFFSET을 생략한 것과 같다. 건너뛸행수의 값이 결과 집합의 행 수보다 크면 공집합이 반환된다. 출력할행수는 1이상 이어야하며 출력할 행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1로 처리한다. 또한 0을 지정면 공집합을 반환하며 빈값을 지정하면 FETCH ..

DB/PostgreSQL 2022.10.26

3. 데이터 출력결과의 행 갯수를 제한 | LIMIT, OFFSET

SELECT ... FROM 테이블 [WHERE ...] [OEDER BY ...] [LIMIT {출력행수 | ALL}] [OFFSET 건너뛸행수] 위 SELECT 문장의 5번 라인에 보이는 것처럼 LIMIT 다음에 출력할 행 수를 지정한다. 출력할 행 수는 일반적으로 양의 정수일 때 의미가 있으며, 출력할 행의 개수 대신 ALL이나 빈값(NULL)이 지정되면 LIMIT 절을 생략한 것과 동일하게 처리되어결과 집합의 모든 행이 출력된다. 출력할 행 수에 0을 지정하면 공집합(EMPTY SET) 이 반환된다. 위 SELECT 문장의 5번 라인에 제시된 OFFSET은 검색 결과 집합을 출력할때 건너뜀 행 수 를 지정한다. 즉, 검색결과 집합을 출력할 때 LIMIT 절을 사용하여 먼저 출력한 행이 있다면 그 ..

DB/PostgreSQL 2022.10.26

1. 대소문자 구별없이 LIKE문 사용하고 싶을때 ILIKE

SQL에서 어떤 텍스트를 찾아낼 때 흔히 사용하는건 like와 ilike가 있다. some_text like 'pattern' some_text ilike 'pattern' Syntax는 위와 같습니다. some_text 속에 pattern과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면 True를 반환하고, pattern과 일치하는 부분이 없다면 False를 반환합니다. some_text는 column 이름으로 대체 가능합니다. like와 ilike는 동일한 기능을 가지지만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like = 대소문자 구분(case sensitive) (e.g. a와 A는 다르다고 판단) ilike = 대소문자 구분 안함(case insensitive) (e.g. a와 A는 동일하다고 판단) 'apple' like 'ap..

DB/PostgreSQL 2022.10.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