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pring 155

5. 정적컨텐츠 | MVC와 템플릿 엔진 | API

정적컨텐츠 - 파일을 그대로 웹 브라우저에 내려주는것 - 스프링부트는 정적컨텐츠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한다 -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2.3.1.RELEASE/reference/html/spring-boot-features.html#boot-features-spring-mvc-static-content MVC (Model View Controller) 와 템플릿 엔진 - 현재 가장 많이 개발하는 방식 (예 : JSP, PHP 등) - HTML을 그냥 주는게 아니라 server에서 프로그래밍 후 동적으로 바꿔서 내려주는것 - 이걸 위해 controller, Model, 템플릿 엔진 사용한 화면(View) 을 사용해서 MVC라 함 - 과거에는 Controller..

4. Server에서 스프링 build하고 실행 | 서버가 구축된 환경이라면 war 아니면 jar 형식

CMD로 이동 후 아래 순서대로 실행 1. 소스코드가 있는 폴더로 찾아가기 2. gradlew build 명령어 치면 build 실행 (아래사진은 build 끝나고 성공한 화면) 3. cd build 해서 build 폴더로 들어가주기 4. cd libs 해서 libs 폴더로 들어가주기 5. 그런다음에 ll 명령어 치면 파일 목록 확인할 수 있음. (아래 사진은 cmd말고 실제 폴더 경로 따라가서 jar파일 확인 한 모습) 6. java -jar hello-spring-0.0.1-SNAPSHOT.jar 명령어 치면 스프링 실행 7. 실행 확인 화면 - 이렇게하면 server에서도 스프링이 실행됨 스프링부트는 tomcat 서버가 내장되어 있기에 jar 형식으로 빌드하면 별도의 서버 구축없이 해당 파일만 실행..

3. View 환경설정 | Welcome Page | Controller로 Thymeleaf 템플릿 엔진 동작 확인

1. 스프링 부트가 제공하는 Welcome Page 기능 - resource/static 폴더에 index.html 을 올려두면 Welcome Page가 된다 hello hello 2. Thymeleaf 템플릿 엔진 - 템플릿 엔진을 쓰면 위 사진의 정적 페이지를 동적으로 만들수 있다. - Thymeleaf 공식 사이트 : https://www.thymeleaf.org/ - 스프링 공식 튜토리얼 : https://spring.io/guides/gs/serving-web-content/ - 스프링부트 메뉴얼 :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2.3.1.RELEASE/reference/html/spring-boot-features.html#boot-features-s..

2. Gradle은 의존관계가 있는 라이브러리를 함께 다운로드한다 | 스프링 부트 라이브러리 | 테스트 라이브러리

Gradle은 의존관계가 있는 라이브러리를 함께 다운로드한다 라이브러리 하나를 다운해도 라이브러리끼리 의존관계가 있다면 2~3개 같이 다운로드 된다 옛날 개발자들은 WAS를 직접 server에 설치해놓고 Java 코드를 밀어넣는 식으로 웹 서버랑 개발 라이브러리랑 완전 분리되어 있었다 현재는 소스 라이브러리에서 웹서버를 들고있다 (embedded system 이라 부른다 (내장형) ) Java main 메서드 실행만해도 웹서버가 뜬다. 따로 설정이 필요없다. 현재 개발은 이런식으로 진행된다. 라이브러리 하나 빌드해서 웹서버에 올리면 끝! 옛날처럼 tomcat Server 설치를 따로 할 필요가 없다. 스프링 부트 라이브러리 Spring-boot-starter-web (핵심 라이브러리) - spring-b..

1. start.io 사이트 spring 프로젝트 생성, 설정 | Spirng 폴더 구조 | IDE 설정, 연결, 실행 방법

프로젝트 생성 사전 준비 - Java 11 설치 - IDE : InteliJ 1. 스프링 부트 스타터 사이트로 이동해서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 스타터 사이트는 스프링에서 운영하고 있는 스프링 부트 기반으로 스프링 관련 프로젝트를 만들어주는 사이트다 스타터 사이트 Project 선택시 참고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땡겨서 빌드까지 관리해주는 툴) - Maven Project → 과거에 많이사용 - Gradie Project → 요즘 추세 스타터 사이트 spring Boot 버전 선택시 참고 - SNAPSHOP 은 아직 만들고 있는 버전 - M1은 아직 정식 릴리즈된 버전이 아니다 스타터 사이트 Dependencies (★중요 : 어떤 라이브러리를 쓸건지 설정) - Spring Web - Thymleaf (H..

반응형